참고
Spring core basic 시리즈는 김영한 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글에 첨부된 사진은 해당 강의의 강의 자료에서 캡쳐한 것입니다. 제 Github에만 올려뒀다가, 정보 공유와 강의 홍보(?)를 위해 블로그에도 업로드합니다. 마크다운을 잘 쓰지 못해서 가독성이 조금 떨어지는 점 양해 바랍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의 계층 구조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getBean() 등).
-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기능은 BeanFactory가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그러면 둘의 차이가 뭘까?
->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은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수많은 부가기능이 필요하다.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부가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일반적으로 필요한 공통적인 기능들을 BeanFactory의 기능에 더해서 제공한다.
MessageSource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한국에서 접속하면 한국어로 출력하고,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하는 기능
환경변수
실무 개발에서는 1.로컬 개발 환경(개발자 PC), 2.개발 환경(테스트 서버), 3.운영 환경(실제 서버) 크게 3가지 개발 환경이 존재한다. 각 환경 별로 어떤 DB에 연결해야 할지 등의 환경변수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한다.
편리한 리소스 조회
파일이나 클래스패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게 해준다.
정리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는다.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빈 관리기능 + 실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Spring > Spring core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re basic] 22 - BeanDefinition,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0) | 2022.05.02 |
---|---|
[Spring core basic] 21 - Spring의 다양한 설정 방식 (0) | 2022.05.02 |
[Spring core basic] 19 - 스프링 빈 조회 (0) | 2022.05.02 |
[Spring core basic] 18 - 컨테이너에 등록된 모든 빈 조회 (0) | 2022.05.02 |
[Spring core basic] 17 -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0) | 2022.05.02 |
댓글